SMART POLICING의 의의와 단계
SMART POLICING의 의의와 단계(윤병훈, 이창한, 2013 참고)
1. SMART POLICING의 의의와 등장 배경
SMART POLICING은 경찰활동에 있어 전략적 관리(Strategic Management), 분석과 연구(Analysis & Research), 과학기술(Technology)를 강조하는 경찰 활동의 전략이다.
SMART POLICING은 문제는 증가하고 자원은 제한되어 있는 상황에서 연구 개발을 통한 분석에 집중하는 취지에서 모색되었고 현재 미국 법무부로부터 기금을 조성받아 운영되고 이를 지원하는 기구(SPI-SMART POLICNG INITIATIVE)가 운영되고 있고 2013년 현재 30여개가 넘는 지역의 경찰조직들이 SMART POLICING에 입각한 경찰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2. SMART POLICING의 7단계
(1) 문제 제기 : 특정한 범죄를 야기하는 문제의 성격과 범위를 데이터를 통해 결정하고 활용하여 확인하는 단계이다.
(2) 현안 판단 : 잘 파악되지 않는 범죄의 경찰 전략을 수립하면서 법/제도/재정 지원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3) 자원 확보 : 경찰 및 형사사법 종사자, 그 외 다른 기관과 지역 사회 조직까지 염두에 둔 자원을 확보하고 연결하는 역할을 중시한다.
(4) 데이터 기반 활동 전략과 개선 : 범죄 유발 문제에 대해 데이터를 기반으로 증거 기반 접근을 한다.
(5) 데이터 분석, 분석 도구 및 새로운 기술의 활용 : 각종 새로운 분석/도구/기술의 적용으로 비용대비 효과적 해결을 염두에 둔다.
(6)활동 전략의 전개 : 데터테 기반,분석,도구의 활용으로 범죄예방 및 억제 전략을 실시한다.
(7) 전략 평가 : 실시한 전략을 실기간 모니터링하거나 성능 평가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