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인공지능
- 의사결정
- 습관의힘 #조직행동
- 도깨비
- 스마트 치안
- 정보
- 지대넓얕
- 시대정신
- SPI
- 지리산
- 스캇펙
- 문유식
- 일본
- 스마트 폴리싱
- 범죄
- 반고흐 #방탈출 #증강현실
- 경찰 #가상현실
- 스마트치안 #장광호 #4차산업혁명_경찰_혁신
- 범죄분석
- 만들어진 신
- 경제
- 너의 이름은
- 스마트치안
- 피아노의 숲
- 리처드 도킨스
- 욕망
- 신카이 마코토
- 마이너리티 리포트
- 소통
- 경찰
- Today
- Total
장광호 : 스마트치안, 경찰데이터 A&R을 위한 공부와 연대
가짜뉴스-집단 범죄로서의 위험성 본문
1. 가짜 뉴스에 대한 단속 착수
경찰은 가짜 뉴스 단속에 착수하기로 했다.
(2.13, 한겨레 보도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82444.html#csidxc21443b084e354ca14b0b09a338a8cb )
일반적으로 <가짜 뉴스>는 이익을 위해서 정보 사용 매체를 활용, 거짓을 양산하고, 정보 유통을 조작하는 행위로 정의되기도 한다. 이 때의 이익은 '1)관심 그 자체이기도 하고, 2)대중의 관심을 조작,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 이다.
인터넷 공간에서 정보를 생산하는 행위는 본질적으로 '관심'을 갈구하는 행위고, 거짓 정보로 관심을 갈구하는 행위도 오래된 연혁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최근의 행동들은 <정치적 이익> 또는 그것과 결부된 <경제적 이익>으로 결합되어 '범죄'의 성격까지 띄게 되었다.
(예-교황이 트럼프를 지지했다는 가짜 뉴스)
지난 해 미국 보도에 따르면, 미 대선 와중에 마케도니아의 소년은 트럼프(Donald Trump)의 지지를 유도하는 가짜뉴스를 자신의 웹사이트에 게재하고 이를 이용해 광고수익 6만달러를 벌어들였다. 미국 광고업계에 따르면 가짜 뉴스 사이트는 한 달에 수만 달러의 광고매출을 올리고 있다. (이상, 머니투데이 보도 2016. 12.22)
이러한 가짜 뉴스는 무엇을 의미하고, 왜 위험하며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메모해봤다.
더 많은 진실을 알림으로써 가짜 뉴스의 영향력을 줄여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NSA의 도감청을 내부 고발한 에드워드 스노든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가짜 뉴스 문제는 (정부기관이나 서비스 제공 기업 같은) 심판자가 아니라 이용자, 참여자, 시민이 서로를 돕는 방식으로 해결해야 한다. 나쁜 메시지에 대한 해결책은 검열이 아니다. 나쁜 메시지에 대한 해결책은 더 많은 (옳은) 메시지이다. 거짓말이 쉽게 퍼지는 지금이야말로 비판적 사고가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기라는 점을 서로 인식하고 또 확산시켜야 한다.”
우리는 자신이 가진 생각과 신념을 뒷받침 해주는 정보들만 선택적으로 믿으려 한다. 이를 ‘확증편향'(確證偏向; Confirmation bias)이라고 하고, 이런 경향은 최근 SNS의 발달을 통해 더 강화되는 측면이 있다.
우리나라 처럼 구성원간 이념적 차이가 크고, 현대사를 통해 극단적 상쟁을 겪은 나라에서는 '확증 편향'은 단순히 심리적 기제가 아니라, 오히려 나의 확증편향을 적극적으로 보여줘야 하는 '생존의 수단'이기도 했다. 현재 가짜 뉴스는 이런 '생존의 수단으로서 확증 편향'의 서글픈 왜소함을 이용하여 더 정착하고 있다.
4. 가짜 뉴스의 소멸에 대해 낙관할 수 있을 것인가?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쉽게 개선되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위에 쓴 바와 같이, 현대에서의 범죄 위험은 개인들의 폭력이라기 보다는 '부와 정보'를 가진 집단에의 한 힘의 불균형에서 파생될 위험이 크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가짜 뉴스도 그런 차원에서 정화되어야 할 것인데, 이를 견제할 힘의 균형이 아직 성숙하지 못했다고 보기 때문이다.
최근, 미국 백악관에서는 '대안적 사실(alternative facts)'이라는 표현이 등장했다.
'대통령 취임식 인파'에 대한 백악관의 발표가 거짓이라는 지적을 받자, 백악관 관계자가 표현한 용어이다 감정을 통해 형성된 여론, 그리고 여론에 의해 형성되는 주장을 <대안적 진실>이라고 규정한다면, 이는 참 세상 한참 후퇴한 것이다.
그렇기에 법, 범죄, 이전에 도덕, 윤리에 대한 상식을 재확인해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
'정보운용과 변화관리 > 대중의 정보인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능, 인류의 마지막 도전 (0) | 2017.01.05 |
---|---|
<아직도 가야할 길 2 - 끝나지 않은 여행> 삶은 복잡하고 평온은 환상이다. 성장하고 참아내며 답을 찾는 노력만이 진리다. (0) | 2011.06.01 |
정보체득과 편집 (0) | 2010.07.01 |
정보기술 발달로 인한 대중의 진실습득력과 판단력 (0) | 2010.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