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광호 : 스마트치안, 경찰데이터 A&R을 위한 공부와 연대

정보사회의 이해 본문

정보운용과 변화관리

정보사회의 이해

미리해치 2010. 8. 12. 16:07

정보사회의 이해 (이종구,조형제,정준영 외 지음)

정보유통-분석에 대해 체계적으로 학습해보고 싶다고 생각에 읽은 책이다.

이 책은 사회학자들이 정보사회 개념을 정리하고, 여러 현상에 대해 쟁점을 다룬 책이다. 

앞으로 거의 모든 자연/사회과학의 중심엔 '정보'의 용어와 방향성이 직간접적으로 함유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그 중 사회학은 정보가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현상나타나는가를 주목한다. 

<메모>
인터넷 공간에서 정보제공은 직접적 호혜성이 아닌 일반화된 호혜성에 기반한다. (74면)
개인간 연결고리가 희박(단서부재론)하기에 몰인격화에 쉽게 빠져든다.  플레이밍같은 '편가르기', '공격적태도'도 강하다. (93면)
경영에서 정보화는 권한의 하부이양과 수평적 네트워크 활성화 효과도 있지만, '감시와 통제'에 원인하기도 한다. (141면)
정보시스템의 도입은 노동을 숙련화하기도 하지만, 다른 맥락에서는 노동자를 탈숙련화하고, 자본의 통제를 강화하는 악영향도 끼친다(155면)
정보화사회가 활성화될수록 '정보격차'도 나타나지만, 정보기술보유자/비보유자, 사용자/비사용자의 단순 구분보다 정보내용의 질적 차이와 정보화의 성과,활용을 기준으로 한 질적 구분이 보다 중시되고 있다(234면)
정보화가 사회를 민주적 방향으로 바꿀 것이냐 낙관은 '기술 결정론에 기반하지만, 지배구조의 공고화가 각종 기술형태를 발달시켜 정보기술을 통제형태로 바꿀 것이란느 전망은 '사회결정론'에 기인한다.
정보기술의 발달을 통한 지적재산의 보호와 공유는 디지털 정보의 특수성을 감안하되, 저작권자의 권리 보호라는 양측의 균형을 감안해야 한다(333면)
정보화로 인한 인권침해도 새롭게 주목할 문제다.  정보의 축적을 통한 개인정보의 남용과 표현의 자유제약 등(358면)
정보사회는 자본주의내의 한 단계를 지칭하는 개념이 될 듯하다.  이제 사회는 사업사회에서 정보사회로 이행되고 있다(446면-재화의 생산보다는 정보의 습득,활용이 가치를 취득하는 보다 유용한 수단이 되고 있는-특히 금융자본의 경우-측면에선 확실히 그러한 듯)

-----------------------------------------------------------------------------------------------
전면 신판 서문
여는글_ 정보사회: 클론의 습격 또는 새로운 희망?

1부 정보사회의 개인과 조직

1장 다원적 문화의 대두와 주변의 상승
1. 주류의 몰락
2. 정보기술과 문화의 변화
3. 미래의 문화는?

2장 사이버공동체의 출현과 확산
1. 1995년, 2005년, 2015년의 사회
2. 정보화사회의 공동체
3. 사이버공동체의 실태와 문제점
4. 정보사회에서 공동체의 발전방향

3장 사이버공간의 사회적 상호작용
1. 시공간적 임플로전
2. 말하기와 글쓰기의 혼재성
3. 사적인 것과 공적인 것 사이의 탈경계화
4. 실제적인 것과 가상적인 것의 임플로전
5. 온라인 사회적 상호작용과 사회학

2부 정보사회의 제도

4장 전자정부와 사이버 거버넌스
1. 변화하는 정치지형
2. 네티즌 정치와 디지털 정당화
3. 사이버 거버넌스로서의 전자정부
4. 앞으로의 전망

5장 정보화와 기업조직의 변화
1. 왜 기업정보화에 관심을 갖는가
2. 정보화는 기업조직을 어떻게 변화시키나
3. 기업정보화의 여러 모습
4. 정보화와 벤처기업
5. 기업조직은 변하고 있다
6. 어디로 갈 것인가

6장 고용과 노동의 변화
1. 정보사회의 노동에 대한 두 이미지
2. 고용구조는 어떻게 변하고 있나
3. 노동의 질 변화
4. 노동자층 내부의 불평등 확대

7장 e-러닝과 교육제도의 변화
1. 교육제도와 정보화
2. 교육정보화 추진현황과 발전방향
3. 새로운 교육체계의 등장
4. 정보화를 통한 교육제도 변화의 의미
5. 새로운 교육제도의 전망

8장 시민기자의 등장과 온라인 저널리즘
1. 온라인 저널리즘의 특징
2. 기존 논의들
3. 1인 미디어의 등장
4. 포털 사이트의 뉴스서비스
5. 온라인 저널리즘의 주요 쟁점

3부 정보사회와 불평등

9장 정보격차와 사회불평등
1. 정보화의 물결
2. 정보격차
3. 글로벌 정보격차
4. 한국의 정보격차
5. 정보불평등 대책

10장 정보기술과 여성
1. 정보사회의 젠더: 기술, 여성, 권력
2. 정보사회와 여성노동의 변화
3. 정보사회와 가족의 변화
4. 정보사회에서 성별 격차화 성별 차이
5. 정보기술이 젠더관계를 바꿀 것인가

11장 정보복지와 보편적 설계
1. 내게 필요한 옵션
2. 정보민주주의
3. 정보복지
4. 보편적 서비스
5. 보편적 설계
6. 보편적 설계를 위한 제도
7. 사회학적 쟁점

4부 정보사회의 쟁점

12장 인터넷과 시민운동
1. 인터넷과 시민운동의 조우
2. 한국 시민운동의 등장과 성장
3. 인터넷을 통한 시민운동의 변화
4. '새로운 새로움'의 창출

13장 지적재산권과 정보공유운동
1. 저작권의 형성
2. 자본주의 발전과 저작권법의 강화
3. 한국사회와 저작권법
4. 정보공유운동의 전개
5. 정보공유운동의 과제

14장 프라이버시와 전자감시
1. 인터넷과 인권
2. 사이버세계의 규제주의와 자유주의
3. 익명성과 프라이버시
4. 사회적 테일러리즘과 프라이버시

5부 정보사회에 대한 성찰

15장 정보기술의 발전과 사회변동
1. 바늘구멍을 통과한 코끼리
2.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혁명과 컴퓨터의 진화
3. 디지털통신 혁명과 인터넷의 등장
4. 정보기술패러다임의 형성과 네트워크사회의 출현
5. 한국의 정보기술 도입과 발전
6. 사회학적 쟁점들: 기술발전과 사회변동

16장 정보기술과 세계체제의 변화
1. 정보화와 세계화의 상호작용
2. 지리의 종언과 경제질서
3. 정보화시대의 초국적기업
4. 국민국가의 위상과 세계 시민사회

17장 정보사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
1. 정보사회 담론의 두 축
2. 정보테크놀로지와 사회변동
3. 단절론과 연속론
4. 정보사회의 자리매김

찾아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