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문유식
- 습관의힘 #조직행동
- 소통
- 만들어진 신
- 스마트치안
- 경찰 #가상현실
- 마이너리티 리포트
- 스마트치안 #장광호 #4차산업혁명_경찰_혁신
- 스캇펙
- 인공지능
- 지대넓얕
- 반고흐 #방탈출 #증강현실
- 너의 이름은
- 일본
- 욕망
- 경찰
- 스마트 폴리싱
- 시대정신
- 도깨비
- 의사결정
- 경제
- 지리산
- 피아노의 숲
- 신카이 마코토
- SPI
- 범죄분석
- 스마트 치안
- 리처드 도킨스
- 정보
- 범죄
- Today
- Total
장광호 : 스마트치안, 경찰데이터 A&R을 위한 공부와 연대
제주 올레길 뛰어본 소감 본문
제주로 가족 휴가를 떠났다 돌아왔다. (2018. 8.8~8.14)
마침 대부분의 숙소를 해안에 잡아서, 올레길과 가까이 묵었다.
주로 새벽에 나와서 올레길 코스를 몇 군데 달려봤다. 어떤 곳은 가족과 함께 걸었다.
소감을 써본다.
2018. 8. 9 올레 16코스 (고내-광령) 중 항파두리 방향
<제주 올레 16코스 : 출처-프란체스코님 티스토리>
숙소가 있었던 구엄마을에서, 방향을 고민하다가, 내륙쪽 올레길은 가본적이 없어 그쪽으로 방향을 잡고 뛰었다.
올레길에 접어들때까지는 차가 다니는 길의 신호등을 건너며 부산했는데, 올레길을 접한 이후부터는 제주의 조용한 마을 길 사이로 뛸 수 있었다. 수산 저수지라는 곳을 접하고 돌면서 한적한 농촌 마을을 지났다. 마을 사이에 말을 키우는 목장을 보면 이곳이 제주라는 것을 실감하게 된다.
<수산저수지-제주올레 홈페이지>
어느 정도 길을 뛰다보니, '항파두리'라는 삼별초가 몽고에 대해 항거를 했던 토성의 유적지를 만났다. 어쩌면 그냥 '언덕', '저수지의 방둑'같은 곳이었는데, 그것이 '몽골군을 막기 위한 토성'이었다니. 제주가 항몽의 최후 보루였다는 것을 책에서 배웠는데, 이렇게 눈에 보이는 작고 아담한 유적을 만나니 묘한 기분이었다. 실제하였던 소박한, 혹은 지난했던 역사로 실체를 만들어준 문화의 힘이 느껴졌다.
제주를 여러번 오고 한때는 1년 이상 살았었는데, 이런 곳이 있다는 것도 몰랐고, 또 알았어도 굳이 일부러 찾아올 마음이 들지 않았을텐데, 이렇게 '열린 길'을 토통해 만나게 되면, '문화란 꺼내서 닦고 색을 입히기 마련'이고 그것이 아무리 작은 것이라도 이야기와 함께 떠오를 수 있다면 사람을 끌어들일 수 있다는 걸 느꼈다
<항파두리 토성 앞에 만들어둔 포토존 용 건물 : 삼별초의 기록에서 발췌한 듯한 문장이 벽면에 비장미를 덧씌워서 의미를 부여해준다>
토성 옆을 지나, 숲길 초입에서 숙소로 돌아왔다. 장끼를 한마리 만나서, '와! 꿩이 있네'라고 생각한 다음 순간, 까투리 십여마리가 날아올랐다.
뛴 거리는 약 14킬로, 달리고 걸은 시간은 약 2시간
2018. 8. 10 올레 16코스 (고내-광령) 중 해안도로
<구엄포구 가는 길의 돌염전>
<갯깍 주상절리 사진 : 그러나 접근 금지되어 가보지 못했다 : 출처-킴스님 블로그>
해변접근로가 막혀있었다. 낙석위험때문이라나, 가까이 가지 못하고, 반대방향으로 달렸다.
전날달린 16코스보다 훨씬 조용했다. 제주의 남서쪽 바다인데 각종 관광코스에서 한켠 비켜있다.
<올레 8코스 : 출처-걸어서 행복님 블로그>
그럼에도 언덕배기마다 펜센 공사 중이었다. 올레길을 통해 제주여행객이 늘어나고, '돌아다니며 구경하는 제주'가 아니라, '쉬며 머무는 제주'로 변화하고 있는 듯 했다.
달리다보니 논짓물이 나타났다. 유명한 제주 바다 옆 천연수영장이다. 3단으로 경계를 둘러 계단식으로 바다에 연결했다.
<논짓물 - 출처 : 너굴쑤님 블로그>
시원한 바다를 눈 앞에 두고, 수영할 수있는 것은 해보고 싶던 매력이다. 하지만, 망설이다가 오늘은 내처 뛰기로 했다.
바다에 둘러싸인 언덕을 오르내리고 다시 돌아왔다. 아마 달린 거리는 대략 6km쯤, 시간은 약 1시간20분
2018. 8. 11 오전 : 송악산 둘레길 10코스
오전 가족들과 송악산을 중턱까지 오르고 둘레길을 걸었다. 약 1시간 30분쯤. 이 길은 올레길로는 10코스다.
<올레 10코스 : 출처-강필님 블로그>
언덕을 오르다보면 남서쪽 바다와 옹기종기 솟아있는 섬들을 볼 수 있다. 바람이 계속 부는데, 이것은 그냥 송악산의 풍경 속에 배경처럼 녹아있다.
<송악산 둘레길 : 앞에 보이는 것은 산방산 - 출처 : 제주올레>
우리처럼 송악산만을 찾은 관광객도 있었고, 전체 코스를 걸으려고 온 가족단위 올레객들도 보였다.
바람으로 피부를 씻고 내려왔다. 아마 5km쯤을 천천히 걸어서 왕복, 시간은 약 2시간
2018. 8. 12 아침 : 7코스 입구
7코스를 달리기 위해 차를 차고 해변으로 왔지만, 마음의 절반은 해변 수영을 할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왜냐면 7코스 입구에 '황우지 해안'이 있기 때문이었다. 황우지 해안은 제주에서도 유명한 자연 수영장이다. 전날 '논짓물'의 아쉬움을 달래보고 싶었다.
<올레 7코스 : 출처-장구목님 블로그>
황우지 해변에 도착하자. 이미 7시도 되기 전인데도, 3명이 스노클링, 수영을 하고 있어, 신나하며 물에 들어갔다. 갈아 입을 옷도 가져오지 않았지만, 그런 건 나중에 생각하는 걸로,, ;
<황우지 해안 : 출처 -visit jeju>
사진만큼 맑진 않았다. 밀물이 들어오고 있어, 조금 뿌옇지만, 그래도 물속을 관찰하기 좋은 명도였다. 예쁘고 즐거웠다.
30분쯤 물속으로 왔다갔다 하다보니, 먼저 왔던 분들이 떠나고 혼자 유영하는데 세상 자유로웠다.
이 날은 달리기를 하지 않고 수영만 했음에도 매우 뿌듯한 아침이었다.
2018. 8. 12 오전 : 번외편 영실탐방로 한라산 중턱 등반
올레길은 아니지만, 걷고 뛴 이야기의 일환으로 영실탐방로를 통해 한라산을 2시간 정도 다녀왔다.
너무 덥지 않을지, 혹시 비가 오지 않을지 걱정했는데, 한라산의 날씨가 따로 있다는 걸 느꼈다. 아주 서늘하고, 구름, 빗방울, 안개들이 계속 스치고 지나갔다. 영실 주차장에서 차를 대고 등산로 초입에 들어서자 마자, 한라산의 산림이 우거졌다.
조금만 걷자, 해발 1400미터였다. 공기와 소리가 달랐다. 상쾌함을 피부로 맞이 했다.
중간에 오백장군(예전엔 오백나한이라는 이름이었는데, 종교적인 이유였을까, 바뀌었다) 암석들이 짙은 안개 속에 쌓여있었다.
바람이 불고, 안개의 커튼이 넘실대어 사라질때 잠깐씩 보는 절경에 아까워하며 감탄했다.
<영실 오백나한 : 출처 - 해인삼매님 블로그>
병풍바위를 지나 윗세오름쯤까지 가보려했으나, 충분히 준비가 안된 상황인 듯 해서, 아쉽지만, 그냥 내려왔다. 다음엔 백록담에 올라가봐겠다는 기대되는 아쉬움이 생겼다. 한라산이 매력있는 산이라는 걸 이제서야 알게 되었다.
2018. 8. 13 아침 : 1코스 (시흥-광치기 해변)
성산 일출봉 옆으로 숙소를 옮긴 날 아침, 오조항 옆에서부터 성산 일출봉까지를 뛰었다.
<올레1코스 : 출처-울산1인산악회 티스토리>
맨 처음 만들어진 길, 올레길을 몇개 코스를 보며 느낀 점이 있기에 새삼 경외심이 들었다.
일부만 뛰어봤지만, 일출봉이라는 풍광을 가운데 두고, 해변이 연결되어 있는 이 코스는 이후 제주 올레길이 확산되는데 디딤돌이 될만 했다.
<성산일출봉 - 출처 : 제주올레>
4개의 코스를 매일 조금씩 뛰어본 소감
'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라산 백록담 다녀온 소감 : 완만하고 긴 길을 걸으며 스스로의 보잘것없음에 대해 편안해졌다. (0) | 2019.02.21 |
---|---|
맘마미아2-잘 만들어진 동화를 통해 받는 감동은 어떤 원리로 촉발하는가? (0) | 2018.08.16 |
아들들과 같이, 지리산 천왕봉 1박2일 (0) | 2018.08.02 |
(만화) <아빠는 요리사> (0) | 2018.02.05 |
일본 후쿠오카 여행 (0) | 2018.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