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의사결정
- 경찰 #가상현실
- 스마트 폴리싱
- 리처드 도킨스
- 신카이 마코토
- 범죄분석
- 도깨비
- 소통
- 시대정신
- 범죄
- 경찰
- 인공지능
- 경제
- 문유식
- 피아노의 숲
- 스캇펙
- 반고흐 #방탈출 #증강현실
- 너의 이름은
- 만들어진 신
- 습관의힘 #조직행동
- 지리산
- 일본
- 스마트 치안
- 스마트치안
- 욕망
- 지대넓얕
- 마이너리티 리포트
- 스마트치안 #장광호 #4차산업혁명_경찰_혁신
- SPI
- 정보
- Today
- Total
장광호 : 스마트치안, 경찰데이터 A&R을 위한 공부와 연대
세상은 범죄로부터 더 안전해지고 있는가? 본문
범인이 살해 동기라고 말한 발언(“사회생활에서 여성에게 무시당해 범행을 저질렀다”), 강남역이라는 장소적 특성, 무작위적으로 공격대상으로 선택된 20대 여성이라는 피해자의 특성 등이 우리 사회의 '혐오 문화'에 대한 논쟁, 여성들의 불안심리의 자극과 공감 등 사회 현상으로 이어졌다.
이런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사회적으로 공분, 공포, 불안의 목소리가 높아진다. 점점 위험한 사회가 되어 가는 것이 아닌가 염려하기도 하다. 그런데 과연 그럴까?
지난 10년간 범죄의 유형에 대한 통계를 평균하고, 이를 2016년과 대비해 보면, 일단 강력(살인, 강도, 성범죄)는 비슷하다(+0.3%). 또한 절도범(-12.5%)은 상당 폭으로, 그리고 폭력범(0.9%)은 소폭 줄었다. 즉 전통적인 유형의 범죄는 줄어들고 있다고 볼 소지가 있다. 그런데, 한편 강력범죄에서도 성범죄를 따로 분리해서, 성범죄 vs 성범죄를 제외한 살인/강도 등 강력범죄를 비교하여 지난 10년간 통계를 보면, 성범죄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이고, 그 외 강력범죄는 감소하고 있다.
성범죄의 증가는 공중밀집장소 추행이라던가, 카메라 등 이용촬영 등 범죄의 신설 등 새로운 법 개정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 또, 과거엔 신고가 안 되었던 성적 침해에 대해 신고하고 처벌하는 사회분위기의 변화 영향도 있을 수 있다. 성범죄에 대한 경찰의 대응도 기존 강력범죄와 함께 다루다가, '여성청소년과'를 신설하고, 여성청소년수사팀의 조직을 별도로 만들어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대응 조직이 생긴 것도 한 요인일 수 있다.
그런데, 성범죄를 제외한 강력범죄의 감소는 어떤 원인일까? CCTV와 정보통신기기의 발달이 검거를 쉽게 하고 연쇄범죄가 이어지는 것을 막는다는 의견이 많다. 대부분의 범죄가 일찍 잡힌다는 것이다.
강력범죄의 감소, 폭력으로부터 안전해지는 사회
이러한 현상은 선진국에서도 일반적이라고 주장된다. 대부분의 나라에서도 살인범죄 등 주요 범죄는 감소하고 있다.
(아래는 G7의 주요 범죄 감소 그래프 -출처 : http://m.blog.naver.com/santa_croce/220674454406)
'범죄현상과 대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스톤 경찰의 SPI (0) | 2017.02.01 |
---|---|
SMART Policing의 핵심 요소 및 관련 전문가 활동 (0) | 2017.01.31 |
범죄분석의 유형과 활용 (0) | 2017.01.01 |
SMART Policing 사례-1(미국) (0) | 2016.12.30 |
SMART POLICING의 의의와 단계 (0) | 2016.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