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범죄
- 소통
- 스마트치안 #장광호 #4차산업혁명_경찰_혁신
- 습관의힘 #조직행동
- 스마트 치안
- 지대넓얕
- 범죄분석
- 문유식
- 신카이 마코토
- 마이너리티 리포트
- 일본
- SPI
- 피아노의 숲
- 반고흐 #방탈출 #증강현실
- 만들어진 신
- 경찰 #가상현실
- 경제
- 너의 이름은
- 정보
- 스마트 폴리싱
- 시대정신
- 스캇펙
- 지리산
- 리처드 도킨스
- 의사결정
- 인공지능
- 도깨비
- 경찰
- 욕망
- 스마트치안
- Today
- Total
장광호 : 스마트치안, 경찰데이터 A&R을 위한 공부와 연대
SMART Policing의 핵심 요소 및 관련 전문가 활동 본문
SMART Policing Initiative 사이트에서 발췌
1. 스마트 폴리싱의 5가지 핵심 요소
(1) 성과와 협동 연구를 측정 : 스마트폴리싱은 혁신의 구현과 성과에 대해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SPI 커뮤니티 구성원은 실행되는 경찰 활동을 철저히 문서화하고 성능 측정을 개선하며 비교 평가 전략 및 설계를 사용하여 결과를 측정해야 한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경찰 활동과 연구 결과에 대해 지식 기반의 질을 신뢰성있게 향상시켜야 한다.
(2) 확장과 협업 : 경찰이 효과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시민과 지역 사회 지도자들과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협력 관계를 수립해야 한다. (공교육, 복지 및 치안 정책에서 지역사회의 역할 구분에 대한 협의 없이 추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3) 조직적 변화를 관리 : SPI의 두 가지 주요 목표인 혁신과 변화는 조직 내외부의 새로운 역할과 기대 및 프로세스로 연결된다. SPI 공동체 구성원은 조직 변화를 계획하고, 변화에 대한 장애물을 예상하고, 저항 완화 전략을 개발해야 한다.
2. 스마트 폴리싱의 질문 단계
(1) (Scanning) 문제 식별 : 어떻게(How) 문제를 확인 했는가? / 누가(Who) 문제 식별 과정에 참여 했나? / 그들이 어떻게 (How) 참여 했나? / 초기에 무엇을(What) 성취할 계획인가?
(3) (Response) 대책 : 대책은 어떻게 개발 되었는가? 핵심 아이디어는 어디에서 나왔는가? 다른 사람들이 문제에 대처한 방법에 대한 근거 자료를 어떻게 검토 했는가? 당신의 대책 수립에 누가 참여 했고 그들을 어떻게 참여 시켰는가?
(4) (Assessment) 평가 : 분석을 기반으로 대책을 수정 했는가? (수정했다면 계획과 전략 / 전술을 어찌 수정 했습니까?) 전략 및 전술의 효과를 어떻게 평가 했는가? 평가에서 무엇을 배웠는가? 구체적 문제 해결 결과는 무엇인가? 목표했던 것이 달성되었는가? 지역 사회 및 내부 이해 관계자를 어떻게 참여 시켰는가? 프로젝트 결과로 얻어진 내용 중 가장 자신있게 홍보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3. 분석 및 연구-5W : 귀하가 제기한 문제는 무엇입니까? 문제 해결하기 위해 어떤 분석 프로세스가 사용 되었습니까? 어떤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 했습니까? 무엇이 작동하지 않았습니까? 결과는 무엇입니까?
4. SPI의 활동에 대한 관할 / 연구 파트너 / 분야 / 방법 : 붙임 파일 참조
'범죄현상과 대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혐오 범죄) 약자를 두려워하게 해야 한다. (0) | 2017.02.22 |
---|---|
보스톤 경찰의 SPI (0) | 2017.02.01 |
세상은 범죄로부터 더 안전해지고 있는가? (0) | 2017.01.02 |
범죄분석의 유형과 활용 (0) | 2017.01.01 |
SMART Policing 사례-1(미국) (0) | 2016.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