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인공지능
- 소통
- 습관의힘 #조직행동
- SPI
- 시대정신
- 경제
- 범죄분석
- 스마트치안 #장광호 #4차산업혁명_경찰_혁신
- 스마트 치안
- 마이너리티 리포트
- 스마트치안
- 만들어진 신
- 문유식
- 범죄
- 경찰 #가상현실
- 반고흐 #방탈출 #증강현실
- 정보
- 지리산
- 너의 이름은
- 지대넓얕
- 의사결정
- 신카이 마코토
- 욕망
- 일본
- 피아노의 숲
- 경찰
- 스캇펙
- 도깨비
- 스마트 폴리싱
- 리처드 도킨스
- Today
- Total
목록정보운용과 변화관리 (42)
장광호 : 스마트치안, 경찰데이터 A&R을 위한 공부와 연대
제목으로 내용을 전부 짐작할 수 있다.야구부 매니저가 피터 드러커를 읽고서, 경영/관리에 눈을 뜨고, 그 이론과 기법을 야구부에 적용시켜서 강한 야구부를 만들 것이다.!! 그러나, 위 한 줄로 그치지 않는 여운이 있다. 그것은 경쾌함과 함께하는 '진지함' 때문이다.피터 드러커의 책을 한권도 제대로 읽은 적 없고, '피터 드러커에 대한 책'만 한두권 읽어본 나로서도, 드러커는 '단순한 기술/기법의 전달자'라기 보다는 '조직 경영 관리 사상을 제대로 수립한 사상가'이라고 느끼기 때문이다 지금의 내 업무와도 연결하여 기억하고 싶은 말들- 기술, 기법은 배울 수 있다. 가장 근본이 되는 것은 '진지함'이다. : 공감한다. '진지함', '진지함이 기반이 되는 고민', '진지하기에 시도하는 노력', '진지하기에 나..
방향과 목적이 없다면 노력과 용기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할 것이다. 맺음말에 쓰인, JF케네디의 말이다.최근, '범죄정보 분석'에 관심을 키워가고 있고, 그 한 종류인 '범죄통계' 등 각종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에 대해 시도해보고 있다.하지만, 무얼 어찌해야 할지, 답답함이 있던 차에 눈에 띄어 꺼내 읽었다. 눈에 띄는 말이, "'일단 뭐라도 분석하다보면 어떻게든 되겠지'라는 태도는 좋지 않다"는 것이다.목적과 방향성을 선명하게 가져야 한다는 것 데이터 분석의 가장 보편적인 목표는 '최적화'인 듯 하다.조직의 투입, 산출, 성과를 분석하여, 가장 성과를 높힐 수 있는 예측모델을 만들고 이를 검증-적용시켜야 한다는 것그러기 위한, 순서와 예시들을 읽어나갈 수 있어 좋았다.분석 도구의 연수 - 분석 목적(목적/가..
서론ILP가 영국에서 차별화된 경찰 전략으로 등장하면서, 경찰협의체와 지역사회에서는 경찰이 평범한 기대도 충족시키지 못하는 무능력 등 경찰문제에 대한 만병통치약처럼 받아들였다. ILP는 선진국의 경찰 전략으로 광범위하게 도입되었다. 이는 범죄와의 투쟁, 성찰, 역량 발전의 구호로 포장되어 비용 대비 효과 측면에서 혁신적인 해결책으로 제안되었다. 현실주의자들도 경찰이 범죄를 진지하게 다루며 필요할때는 결정적인 활동을 한다고 증명해주었다. 영국에서 ILP는 NIM에 이르러 절정에 달하였다. NIM의 주창자들은 잉글랜드와 웨일즈 즈의 정보 업무를 혁신하여 주류 경찰활동에서 정보 주도 접근이 새로운 고유업무로 부각되길 원했다. 이 책에서는 NIM 구조 모형이 등장과 그것이 ILP와 경찰기관에 미친 영향에 대해 ..
(Examing Intelligence-led Policing) 저자(adraina James) 서문 현대 경찰 수사와 정보 업무에 대새 짜임새 있고 믿을만한 글을 서술하는 것은, 어떤 면에서는 쉬운 일이다. 오늘 날 경찰활동은 역대 가장 투명하고, 문헌은 간명하며, 인터넷 검색은 정보가 과다할 정도로서, 이를 통해 수사 규칙, 작전업무, 경찰 정보 관리, 정보 규약에 대한 자료를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대 경찰 정보와 수사가 어떻게 의미있는 분석활동을 하고 있고 발전된 업무를 왜 그리고 어떻게 하고 있는지 설명하는 것은 쉽지 않다. 정보 주도 경찰 활동이 조사와 정책업무를 발전시키기 위해 제언되어, 신경찰 논쟁을 촉발하였는데, 이는 간단히 설명되지 않는다. 당시 정책과 전략을 논쟁적으로 살펴..
내용서문 Robert Reiner소개와 감사 1. 현대 경찰 현장의 설정 서론 정보주도 경찰-현대의 ILP-문제 원인 경찰(POP)-공동체 경찰 정보 사용-경찰 정보-정보 업무와 NIM-제도화된 기억 경찰 조직-영국 경찰 활동 구조-경찰청장 협의회(ACPO) 경찰 문화 -영국 경찰 활동 구조-정장과 제복 경찰 활동 직업화-경찰 직업화-수사 직업화 경찰의 감독-통치 3원 체제-신공공관리-정치적 정책적 변화 관료적 감독-HMIC-결산위원회 2. 수사와 정보의 간략한 역사 ; 영국에서의 실행 서론 경찰의 임무 단순 복장 경찰-최초의 수사부서 -Howard Vincent CID-문화적 분할-새로운 長 ; 오래된 문제-나르는 반(班) 내무부 협의회의 수사업무 ; 1933-1936-1930년대 정보 업무-CID와 ..
Intelligent investigation: the use and misuse of intelligece - a personal perspectiveBarry Rider, Jesus College, Cambrige, UK, 전통적 경찰활동은 자연스러운 반응적 활동하며 선제적이진 않다. 영국에서의 홍콩, 아일랜드 등 문제로 인해 인적 정보의 수집이나 특수 부서를 설립하는 등 냉전의 산물이다. (이상 295)국가 경찰 체제는 정보 기능적으로는 기회라고 할 수 있고, 이는 식민지배의 강화 요구와도 연결된다. (영국의 경우, 인도 등)반면, 전통적인 법직행으로 어려운 조직범죄 마약 등 중요 범죄 처럼 현존하는 위협을 대응하기 위해 NCA 등 중앙 경찰 조직이 만들어지고 있다.(296)정보 업무는 월단위가 아..
공공관리자의 정책과정에서 역할과 착안점, 전략에 대한 입문서 같은 책이다.108페이지의 얇은 책이지만, 첫 번역 문맥과 전문용어 등에서 오류도 많으나, 관심있는 분들 참고하세요~(원서 번역 및 발제 모음)
1. 한겨례 모 기자의 어제 칼럼(윤창중 사용기) 중 한 귀절 - 기자들은 냉정해서, 한두번 식사를 한 후, 계속 식사하는 사이로 유지할지 여부를 결정'한다는 말 인상적 : 즉, 취재원으로서 가치, 혹은 기자 개인에게 줄 수 있는 가치(돈이든, 권력이든, 지적 자극이든, 정서적 유대이든)가 있어야 한다는 말이겠지 - 그리 생각하니, 나 역시 한두번 밥을 먹은 여럿 기자와, 꾸준히 밥을 먹고 있는 (정말 몇안되는) 기자가 생각나 끄덕끄덕 혹은 챙피 2. 정보 수집과 분석이라는 차원에서- 결국 인적 정보(Humint)가 처음이자 끝일 수 밖에 없을까? : 고금 전통적이고 가장 강력한 정보 수단임은 맞는데, 그렇다면 '시스템'으로서 연구할 바가 없잖아?- D/B의 무한 추출, 빅데이터로서의 분석, 형통망(KI..
경찰의 범죄 정보 분석시스템을 만드는데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1. 사회 안전을 위한 기여, 2. 조직의 역량 강화를 위한 보람 3. 개인적인 실력 향상에의 기여 등의 이유로 그래서, 2005년 50페이지 가량 보고서를 썼던 적이 있는데, 그 후 가끔 그런 보고서의 업그레이드(?) 판을 한번씩 쓰긴 했어도, 구체성은 별로 없이 개괄적 방향만 보태어 갈뿐 을 제시하지 못해 없어 답답(진도가 안나가서), 챙피(실력이 없어서), 아쉬움(기회가 없어서) 어쩌면, 박사과정(내가 이런 공부를 하는 것도 가당찮고, 한편 창피한데)의 주제로라도, '경찰의 범죄정보 운용 시스템 구축과 활용방안'이라는 논문을 쓰게 가능성이 있어, 관련 자료를 찾아 읽는 중이다 근데, 어쩌면, 상기 주제..
(경찰 페친님들께~^^) 1.아침 담벼락 및 위키트리 적었듯, 엘리트는 당연하고, 시민 일반도 검찰을 비롯한 사법엘리트에 대해 미워하면서도 '선망'합니다 검찰은 부패하더라도 웬지 똑똑하고 멋져보이고 경찰은 부패한데다가 멍청하기까지 합니다 검찰 부패가 권한 집중 탓이라고 인정하면서도 그 권한을 경찰로 분할하는 것은 웬지 망설여하죠. 그게 세계적 표준이라 해도 경찰 주장에 동조해주는 건 웬지 '격이 떨어지는, 싼티나는' 것 같다 생각하는 듯,,ㅠㅜ 2.이쯤되면 논리의 영역이 아닙니다 '검찰에 대한 배반당할 짝사랑을 깨우쳐줘야 하고, 사법은 원래 시민의 것이었으며 대부분의 나라와 같이 시민이 경찰을 통해 수사 사법행정을 통제 함을 정서적으로 반복 설득 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정서적 설득 주안점과 조직 운영 방향..
▣ 다양한 현장상황에서 인권보호를 위한 직무지침․실습 교육 미흡 ❍ 인권보호는 적법절차 준수를 전제로 함에도, 다양한 상황․절차에 맞는 세부 지침 미흡 ※ 추상적 지시․하달은 현장에서 도움이 안됨 ❍ 교재․매뉴얼도 ‘추상적인 문자’로 구성되어, 다양한 현장상황에서 구체적으로 판단․조치해야하는 경찰관에게는 실효성 부족 ==> 법집행 수준 제고를 위한 영상교재 및 실습교육 요망 ▣ 기능별 법집행 대응 지침 내실화 ❍ 추상적으로 작성된 現 지침․매뉴얼을 상세화, 구체적 대응 모델 제시 ※ △주취자․난동․자해소동자 대응 및 △수갑․곤봉․가스총․테이저건 등 사용 지침 △유치장 사고 대응 △집회시위 차단 및 현장 대응 ❍ 대상자 특성, 유형․대상․상황에 맞는 매뉴얼 제작 매뉴얼 고도화 時 착안 사항 ✦대상자의 특성..
현장 역량 강화를 위한 人事 개선 제언- 경정 이상 승진 T/O의 민생치안 현장 운영 -Ⅰ. 들어가며 (도입 및 제언 요약) 최근 경기 수원 중부경찰서에서의 발생한 납치 살인사건은 경찰과 국민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많은 문제점과 개선방안이 제언된 바 있었으나, 필자는 ‘현장 중심 人事’가 민생 치안 현장의 근본적 풍토 개선 대책이라고 제언한다. 즉, 현장 실무자 및 팀․과장 등 중간간부, 그리고 경찰서장 등 지휘관의 적극성․책임성 배양을 위해, 경정(경감에서 승진)부터 경무관(총경에서 승진)까지 승진자의 배출은 오로지 민생치안을 다루는 경찰서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Ⅱ. 수원 납치살인 사건(오원춘 사건)으로 통해 본 문제점 1. 문제 원인 - 관리 계층의 지휘 풍토를 중심으로 해당 사건에 있어, ..
심리학전공자로 특채되어 각 지방청에 인권상담관(CARE팀)으로 일하는 분들과 공동작업으로 '경찰관이 알아야 할 대화의 기법'이라는 책자를 만들었다. 주로 상담심리학의 원칙들과 실무 경험들을 인용해서 경찰관이 접하기 쉬운 여러 유형에서 서로 잘 소통하는 기술적인 사항들과 특히 마음가짐에 대해서,,,, 특히 내 자신이 만들면서 공부가 되어 즐거운 경험이었다.. (관심있는 분들은 다운 받으세요)
1. 스캇펙의 두번째 이야기 - 끝나지 않은 여행 스캇펙은 에서 '절제', '균형', '책임', '진실'에 대한 이야기와 '고통'에 대한 인정과 참다운 감내를 이야기했다 그리고 20년이 지나 그 두번째 책으로 을 냈다 아마 그동안 그는 본격적인 기독교인으로서 변신하고, 개방적 이념을 갖춘 종교/이념 공동체 활성화 운동도 적극적으로 주도했던 것 같다. 두번째 책에는 그런 20년의 경험과 더 깊어진 시각이 생각의 여백을 주는 서술로서 집필되어 있다 (1권은 대단히 엄격한 깨달음을 사례와 같이 반복하며 주입식 시각 변화를 강행하는 느낌이었지만, 2권에서는 보다 느긋하고 은유적인 글체를 구사한다) 아래 글은 그의 글을 일부 인용하고, 전체적으로 요약 재구성한 내용이다. 2. 위기없는 평온한 삶, 근원적 해법을 ..
조직원 A는 조직내 동료 직원의 권익 보호를 주 목표로 하는 커뮤니티에 가입, 운영진으로서 활발한 활동을 해왔다 A가 가입, 활동하는 커뮤니트는 공격적으로 문제제기하는 경향에 따라, A는 부서의 지휘부로부터 경원시 되었다. 그러나, A는 커뮤니티를 탈퇴한다던가, 활동을 자제한다기보다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더더욱 '평소 자신의 입장과 자신에게 가해지고 있는 부당한 압박'을 강조하여 상호 갈등은 증폭되었다. A가 근무하는 부서의 장, 동료직원들에 의해서도 유무형의 압박이 가해지고 있다고 생각하던 A는 부서 내 상사의 업무 시간내 사소한 자리 비움, 근무중 사적인 전화 통화 등까지도 '문제가 있다'고 하며, 이렇게 문제 있는 사람들이 자신에게 압박을 가함을 잘못이라고 주장, 오히려 부서 내 입지..